모든 직장인에게 공개하는 HR Story

연봉, 승진, 이직, 퇴직까지... 직장인들이 꼭 알아야 할 인사 비밀노트를 공개합니다

HR Story

4. HR 전문가 되기

직원을 붙잡는 인사관리의 비밀 : 돈보다 강력한 동기부여 요소

hrplanner 2025. 9. 4. 13:17
반응형

“연봉 올려줬는데 왜 여전히 불만이 사라지지 않죠?”

많은 경영자들의 공통된 고민입니다.

임금 인상은 분명 필요합니다. 그러나 그 효과는 대부분 3개월을 넘기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임금을 안 올릴 수도 없습니다. 비교의 순간 이직은 자연스럽게 떠오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직원들이 회사를 선택하고 머무는 이유는 단순히 돈 때문만은 아니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돈’보다 오래가는 비금전적 보상(NCA, None Cash Awards)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 왜 돈만으로는 직원의 마음을 잡을 수 없을까?

1) 급여는 곧 ‘기준선’이 된다

처음엔 만족도가 올라가지만, 곧 새로운 급여 수준이 당연한 기준이 됩니다. 더 이상 동기부여 요소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죠.

 

2) 비교는 끝없이 일어난다

나만 오른 게 아니라 다른 직원도 올랐고, 경쟁사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사람들은 “예전보다 나아졌다”보다 “남들보다 뒤처졌다”는 감정을 더 크게 느낍니다.

 

3) 돈은 ‘보상’이지 ‘의미’를 주지 못한다

급여만으로는 자부심·성장감·존중받는 느낌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돈은 잠시 만족을 줄 뿐, 일에 의미가 없으면 동기는 금방 꺼져버립니다.


🌱 돈 이상의 동기부여: NCA(비금전적 보상)

 

1) 재미 있는 일터 만들기

업무에 작은 도전 과제를 넣거나, 팀별 친선 경기·가벼운 사내 이벤트·칭찬 릴레이 같은 문화를 도입해 보세요.
작은 재미가 반복되면 일상 속 피로가 줄고, 직원은 “이 회사는 단순히 일만 하는 곳이 아니라 즐겁게 함께하는 곳”이라고 느낍니다.
➡️ 재미는 퇴근하고 싶지 않은 직장을 만드는 첫 번째 비금전적 보상입니다.

 

2) 일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알려주기

사람은 ‘내 일이 어떤 가치와 연결되어 있는가’를 알 때 몰입도가 높아집니다.
“당신이 작성한 보고서 덕분에 고객 불만이 줄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회사 성장률 10%에 기여했습니다”처럼 결과를 구체적으로 알려주면 직원은 자신의 역할을 자부심으로 느낍니다.
➡️ 작은 업무도 회사·고객·동료와 연결된다는 인식을 주면 책임감이 자연스럽게 커집니다.

 

3) 작은 성과에도 칭찬과 인정

“고맙다”, “이건 큰 도움이 됐어” 같은 짧은 말이 직원의 자존감을 크게 키웁니다.
특히 성과급이나 인센티브가 당장 주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상사와 동료의 즉각적인 인정은 장기적으로 보너스 이상의 효과를 냅니다.
➡️ 인정받는 경험은 직원이 “나는 여기서 의미 있는 존재다”라는 확신을 갖게 합니다.

4) 성장 기회 제공

교육, 외부 세미나, 신규 프로젝트 참여, 멘토링 제도 등은 직원에게 “나는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사람은 더 나은 나 자신을 원하는 존재이기에, 성장 기회가 있는 직장은 쉽게 떠나지 않습니다.
➡️ 성장 경험은 단순한 동기를 넘어 “이 회사와 함께 미래를 그리고 싶다”는 마음으로 이어집니다.

 

5) 자율성과 신뢰

업무 방식과 일정에 자율권을 주고, 결과를 신뢰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몰입도는 크게 높아집니다.
“당신이 알아서 해도 괜찮아”라는 말 한마디는 직원에게 주인의식을 심어줍니다.
➡️ 자율성과 신뢰는 곧 책임감 있는 몰입을 만들어내는 강력한 보상입니다.

 

6) 심리적 안전감

실수했을 때 즉시 질책하기보다는 이유를 묻고 함께 해결책을 찾는 문화가 필요합니다.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은 직원에게 “이 회사에서는 시도해도 괜찮다”는 자신감을 줍니다.
➡️ 이런 조직에서 직원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회사와 함께 성장하려는 의지를 다집니다.


📊 연구가 말하는 진실

Hay Group 연구: 급여의 영향력은 약 20%에 불과, 성장 기회(30%), 신뢰와 피드백(25%), 인정(15%), 일의 의미(10%)가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Daniel Pink 『Drive』: 진짜 동기부여는 돈이 아니라 자율성·성장·목적에서 비롯됩니다.

 

Gallup 글로벌 조사: 전 세계 직장인들의 몰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연봉’이 아니라 사람 간의 관계였습니다.

 


🎯 정리: '돈'은 출발선일 뿐

높은 연봉은 직원 채용의 시작 조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원이 오래 머무는 핵심은 관심, 존중, 성장, 의미에 있습니다.

 

사람들은 돈 때문에 입사하지만,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확신,
‘이 일이 의미 있다’는 자각이 있어야 오래 머뭅니다.

 

 

👉 결론:

직원들이 오래 다니고 싶은 회사는 돈보다 ‘관심과 존중’을 경험하는 회사입니다.
돈은 떠나는 이유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관심과 존중이 없다면 머물 이유도 없습니다.

HR Story 로고

직장생활, 혼자가 아닙니다.

HR Story가 당신 곁에서 함께 고민하고 성장합니다. 이 글이 유익하다면 주변에 공유해 주세요.
친구, 동료들과 함께 더 나은 직장문화를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

반응형